KOSSDA BLOG

'2007, 2008, 2009 통일의식조사' 자료 소개

자료 소개/조사자료
어제 '2010 통일의식조사'에 대한 뉴스를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자료원이 소장하고 있는 '2007, 2008, 2009 통일의식조사' 자료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말씀드렸듯이, 통일평화연구소(소장 박명규)는 우리 자료원과 37번째로 자료공유협약을 체결한 기관입니다. 이 연구소에서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통일과 대북관계에 대한 여론을 파악하여 통일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매년 통일의식조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설문문항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의 의견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다는 말이지요.

그럼, 자료원에서 정리한 메타데이터를 토대로 통일의식조사에 관해 알아볼까요?


통일의식조사

조사내용은 메타데이터 초록에 있는 부분을 발췌할께요.
"이 조사의 설문지는 통일에 대한 견해, 대북인식,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 탈북자에 대한 태도, 주변국과의 관계 인식 등 5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일에 대한 견해 부문에는 통일의 필요성과 시기, 대북정책별 통일 기여도, 대북사안별 시급성, 통일 후의 사회변화와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북인식 부문에는 남북관계 및 남북한 민주성에 대한 인식, 북한정권에 대한 신뢰도, 북한의 변화 정도,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 남북한의 이질성, 북한 관련 경험, 한반도 전쟁가능성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대북정책 평가 부문에는 대북지원의 실효성과 적절성, 남북경협의 북한개혁 도움 정도,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 대북정책 결정시 국민의견 반영 정도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탈북자에 대한 태도 부문은 탈북자에 대한 친근감, 탈북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탈북자 수용여부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주변국과의 관계 인식 부문에는 주변국에 대한 우호 또는 위협 의식, 주변국과의 관계,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기대, 주변국과의 공조 필요성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 해방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와 현재의 한국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내용들도 설문지에 포함되어 조사되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만 19세이상 65세이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매년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수행기관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이고요. 다단층화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1:1 개별면접조사로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자료이용

2007, 2008년 데이터는 현재 이용가능하고요. 2009년 자료는 양적자료팀에서 구축하고 있는 중이어서 아직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조금 더 기다려 주세요.
두 자료 모두 설문지, 코드북를 다운받으실 수 있고요. 온라인통계분석 도구 NESSTAR를 통해서 다운로드 없이 바로 분석이 가능합니다(자료원 소개 메뉴의 '자료이용법' 참고하세요).
마음 급하신 분들을 위해 선물드릴께요. 2007, 2008년 통일의식조사의 코드북입니다. 설문문항과 응답값 모두 확인 가능하실 거예요. 원자료 다운로드는 자료원 홈페이지(http://www.kossda.or.kr)를 이용하세요^^